전세/보증금 대출
✅ 1. 전세/보증금 대출 기본 개념
보통 전세자금대출이나 보증부월세 대출에서는 아래와 같은 원칙이 적용됩니다:
구분설명
보증금 대출한도 | 보통 임대보증금의 70~80%까지 가능. 금융기관마다 조금다름 |
계약금(자기부담금) | 전체 보증금의 5~20% 정도는 본인이 부담해야 함 20% 정도는 본인이 부담해야 함 |
✅ 2. 청년 전용 대출 상품 (대표적인 상품: "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")
항목내용
대상 | 만 19세 ~ 34세, 무주택자, 연소득 5천만원 이하 (근로소득자 기준) |
보증금 한도 | 최대 5천만원 |
월세 지원 한도 | 최대 월 20만원, 연 240만원 (2년 기준 480만원) |
이자율 | 1.5% ~ 2.5% 정도 (신용도에 따라 차등) |
필요 자기부담금 | 보증금의 5% 이상만 임차인이 부담하면 OK |
주요 특징 | - 임대보증금의 95%까지 대출 가능 - 월세 대출도 함께 지원 - 이자 저렴, 신용 낮아도 가능 |
🔹 보통 2,000만원 보증금이라면 100만원(5%)만 있어도 가능성 있습니다.
✅ 3. 신용대출 보유자의 대출 가능성은?
보증부 월세 대출은 정책상품이라 일반 대출과는 심사 기준이 다릅니다.
- 신용점수가 아주 낮지만 않다면 가능성 있음
- 단, 기존 연체 이력이 있다면 거절될 수 있습니다.
➡️ 신용점수가 KCB 기준 600점 이상, 연체 없고, 정규직 또는 3개월 이상 재직 중이라면 심사 통과 가능성 높습니다.
✅ 4. 실질적인 진행 플로우
- 조건 확인: 본인이 '청년' 요건(만 34세 이하, 무주택, 소득 요건) 만족하는지
- 주택 검색: 보증금 2000~3000만 원, 월세 회사지원 받는 집
- 계약 전 대출 상담:
- 주거래 은행 또는 국민·우리·신한 등 대형은행의 정책대출 상담
-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신청
- 보증금의 5% 납입 후 대출 실행
- 대출 승인 시, 잔금일에 보증금 대출금이 임대인에게 직접 입금
♣ 신청방법 ♣
주택도시기금
주택도시기금 소개, 주택구입(내집마련디딤돌 등), 전세자금, 월세대출, 국민주택채권, 주택청약, 신혼부부대출
nhuf.molit.go.kr
🔍 결론 요약
- 청년보증부월세대출은 보증금의 5%만 계약금으로 내면 나머지 금액은 전액 대출이 가능합니다.
- 수중에 100만원만 있다면, 보증금 2000만 원 집도 충분히 도전 가능합니다.
- 다만, 신용 상태 확인, 근로계약 상태, 연체 유무는 꼭 점검하세요.
- 은행이나 기금센터에 사전상담을 받으세요.